본문 바로가기
삼시세끼 맛집/일상맛나게

보리수쨈 만들기 보리수나무 열매 먹는법 고추장 잼 효능

by Breadpang 2025. 6. 23.

보리수나무는 불교적 상징과 함께 자연 속에서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는 나무입니다. 마당에 한참 열린 보리수 열매로 보리수쨈 만들어봤습니다.

 

보리수쨈
보리수쨈

 

통통한 앵두보다 보리수는 더 붉고 약간 길어 보인답니다. 예전에 보리수나무 열매로 만든 보리수고추장 얻어 먹어보고 반했었는데, 보리수쨈, 마멀레이드, 청까지 다양하게 해먹는 방법들이 많습니다.

 

보리수나무
보리수나무

 

보리수나무는 흔히 불교에서 '깨달음을 얻은 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붓다가 수행 중 앉아있던 나무는 인도산 '아슈와타 나무(무화과)'였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보리수나무'로 번역하면서 상징성이 바뀌었다고 하네요.

 

보리수나무
보리수나무

 

한국 보리수나무는 씨 모양이 보리를 닮아 보리똥 나무라고도 불렸었다고 하는데, 보리수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며, 5~6월이면 꽃이 피고 6월 말에서 7월 사이에 작은 열매를 맺습니다. 마당에 색깔이 너무도 화사하고 붉게 이쁜 보리수 따봅니다.

 

 

보리수 열매 효

보리수 열매는 여름 초입, 6월 말부터 7월 초까지가 가장 맛있고 풍부한 제철입니다. 익기전에는 떫고 쌉쌀한 맛이 강한데 익을수록 색이 더욱 붉어지고 달달한 맛이 난답니다. 보리수열매는 비타민 C와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피로 회복과 면역력 강화에 효과적이고, 안토시아닌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풍부하여 혈액순환과 노화 방지에도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이케아-매쉬-포테이토-기구
과육과 씨앗 쉽게 분리하기

 

보리수 열매는 생으로 먹기보다는 가공하여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리수 고추장을 담글 경우 설탕이나 매실청 대신 보리수 열매를 으깨 넣으면 은은한 단맛과 과일 향이 더해져 감칠맛이 좋습니다.

 

과즙 팡팡 딸기 라떼와 살구 라떼 만들기

 

과즙 팡팡 딸기 라떼와 살구 라떼 만들기

집에서 나는 맛있는 과일로 시원하고 과즙 넘치는 제철 음료 소개해보려 합니다. 예전에는 노지딸기라고 해서 빨간 플라스틱 바구니에 딸기를 담아 팔곤 했는데, 올해는 볼 수가 없는 것 같습니

breadjobs.tistory.com

 

 

보리수 나무 열매가 작다보니 어떻게 씨앗을 분리하나 했더니 체에 으깨면 쉽게 분리되어 과육만 걸러 사용하길래 저도 한번 도전해봤습니다. 전 이케아 매쉬포테이토 기구 이용해 아주 쉽게 과육과 씨앗을 분리했답니다. 

 

 

보리수쨈 만들기

▶ 요리재료

보리수열매 씨앗 분리 후 800g, 비정제 설탕 60g, 식초 1Ts,

 

보리수쨈 만드는 법

1. 쨈을 담을 병은 열탕 소독해 준비해 둔다.

2. 보리수가 잠길 정도의 물을 넣고 식초를 넣어 5분 정도 담아두었다 3회 정도 씻어 채반에 받쳐 물기를 뺀다.

 

3. 물기가 빠진 후 이케아 매쉬포테이토 기계로 눌러 과육과 씨앗을 분리한다. (혹은 채반 밑에 볼을 받친 후 라텍스 장갑을 끼고 과육을 으깨 씨앗을 분리한다). 

 

4. 보리수 과육을 쨈팟에 담고 70% 정도의 설탕 60g을 넣어 눌러붙지 않게 저어가며 계속 끓인다. 중간 중간 거품은 걷어 낸다.

5. 약불로 한시간 정도 끓여가다 보리수쨈 한 방울을 물에 떨어뜨려보고 퍼지지 않으면 마지막에 레몬즙 1Ts를 넣고 불을 끈다.

6. 어느정도 식으면 열탕 소독한 쨈병에 소분한다.

 

쨈만들 때 설탕을 넣는 비율은 1:1, 혹은 70~80% 정도 넣어주는데, 전 70% 정도 넣었어요. 만들고 나서 색깔이 루비색으로 너무 예뻐 감탄, 맛에 또한번 감탄하는 중이랍니다. 혹시 보리수열매 구할 수 있다면 한 번 만들어보세요. 빵에 발라도 요거트나 크래커에 발라먹어도 너무 맛있답니다. 이상으로 보리수쨈 만드는 방법이었습니다.

 

차지키소스 먹는법 딜 없이 만들기 최화정 그리스쌈장 먹는법 그릭요거트 오래 보관하는 법

 

차지키소스 먹는법 딜 없이 만들기 최화정 그리스쌈장 먹는법 그릭요거트 오래 보관하는 법

차지키소스는 그리스 요리에서 유래한 그릭요거트, 오이, 딜, 마늘, 올리브오일로 만드는 소스입니다. 그리스에서는 주로 수블라키나 피타 브레드와 함께 곁들여 먹는다고 합니다. 아주 향긋하

breadjobs.tistory.com

 

반응형

댓글